세관 직원이 신문지 포장을 펼치자 해외에서 사 온 감기약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마약류 성분이 들어있어 국내엔 반입이 금지된 불법 의약품입니다. <br /> <br />최근 감기약과 수면제, 다이어트약 등 마약류 성분이 포함된 불법 의약품을 국내로 들여오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20년에는 19명, 885g이 적발됐는데 지난해에는 252명, 3만 7천여g이 적발됐습니다. <br /> <br />중량을 기준으로 43배나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올해 들어 두 달 동안 적발된 것만 65건, 만 천g이 넘습니다. <br /> <br />대체 마약으로 몰래 반입하기도 하지만 진통에 효과가 좋다는 이유로 마약 성분인지 모르고 들여오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. <br /> <br />[최문기 / 관세청 국제조사과 과장 : 해외여행 가셨다가 지인들 소개나 아니면 권유로 이런 의약품들을 구매해서 직접 들고 들어오는 경우도 있고요. 그리고 한 번 경험을 해보셨던 분들이 해외에 있는 직구 사이트를 통해서….] <br /> <br />이런 식으로 마약 성분이 든 감기약을 복용했다가 중독된 사례도 있는 만큼 해외 의약품을 구매할 땐 성분을 잘 살펴봐야 합니다. <br /> <br />미국 여행 쇼핑 리스트에 자주 언급되는 감기약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이 감기약 절대 사오시면 안 되겠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 쓰여있는 덱스트로메토르판은 국내에 반입이 금지된 마약류 성분입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감기약에 든 코데인과 불면증 치료제에 함유된 알프라졸람, 졸피뎀까지, 이 4개 성분이 자주 적발되는 만큼 꼭 확인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관세청은 반입 차단을 위해 여행자 수화물뿐만 아니라 국제우편, 특송화물까지 엑스레이로 전수 검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무엇보다 해외에서 감기약을 잘못 샀다가 마약 사범이 될 수도 있는 만큼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YTN 최아영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ㅣ이승준 <br />디자인ㅣ박유동 김진호 <br />자막뉴스ㅣ정의진, 고현주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50319083212803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